33주차 정기검진날, 초음파를 보던 의사쌤이 양수가 조금 모자라 보인다고 하셨습니다... 위험할 만큼 모자른건 아니지만 확실하게 확인차 좀 더 큰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보면 좋겠다고 하셔서 대학병원으로 전원되었습니다.
그래도 확인차라고 하니까 큰 문제 있겠어 싶은 마음으로 예약된 날짜에 대학병원으로 내원했습니다. 초음파를 보고 난 후, 의사선생님은 입원을 권유하셨습니다. 확인차라고 하셔서 긴장도 안하고 갔었는데 이게 무슨일인지.... 😳 양수 수치가 2 ~ 3 정도면 바로 아기를 꺼내야할정도로 위험한 수치인데, 저는 5 ~ 6 사이라고 였습니다. 아주 위험한 정도는 아니지만, 그냥 두고볼 수도 없는 수치 인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다음날 바로 입원을 하였고, 퇴원은 기약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양수과소증 입원생활
양수과소증은 입원해서 특별히 할 수 있는 처치는 없다고 하셨습니다 식염수 링거를 계속 맞으면서 초음파로 양수가 늘었는지 보는게 전부였습니다
입원이 얼마나 길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입원실은 다인실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임당 산모이기 때문에, 입원하자마자 간호사쌤에게 입원식을 ✔️당뇨식으로 달라고 했습니다
하루 일과는 ✔️식염수 떨어지면 교체 ✔️밥 세끼 잘 먹고 ✔️인슐린 투여 ✔️수시로 당체크 ✔️하루 두번 태동검사 ✔️1~2 일에 한번 초음파 검사 이렇게 보내게 되었습니다
다른 산모들과는 다르게 임당 산모여서 제 하루는 좀 더 바빳던것 같습니다🥲
집에서 먹던 퍽퍽한 닭가슴살, 질긴 늘보리밥이 아니라 오랜만에 밥같은 밥을 먹어서 인지, 수액을 계속 맞아서인지 식단관리로 푸석푸석해져가던 얼굴이 하루 이틀만에 보름달이 되엇습니다 🤣
입원생활 중 임당관리
인슐린펜을 전달하면 시간마다 챙겨주신다고 하여 인슐린을 간호사쌤에게 드렸습니다. 그리고 혈당체크도 간호사쌤들이 시간마다 해주신다고 하여 저는 임당관리에서 일단 해방되었습니다. 이 해방감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확 줄어들어 마음이 너무 평온해졌습니다 😌 이러면 안되지만 계속 입원해 있고 싶은 마음.........🥲
✔️병원에서 당뇨식은 다 먹어도 된다하고 인슐린은 원래 맞던대로 맞으라해서 인슐린을 조금 높혀 맞고 당이 튀단 안튀던 상관없이 열심히 먹었습니다 😀 대학병원인데 알아서 관리 해주겠거니 ㅎㅎ
✔️임당기준으료 식1이 자주 튀고, 공복은 정상이었는데 간호사쌤들이 식1은 정상이라하고 공복은 너무 낮다해서 미심쩍었지만 어련히 알아서 해주겠지 싶어서 튀면 튀는대로 그냥 그러려니하고 스트레스 안받기위해 노력했습니당 ㅎㅎ
✔️수액을 계속 맞아서인지 식2랑 공복은 너무 뚝떨어져서 저혈당올까바 주스를 사다놓고 마시며 관리했습니다 그렇게 계속 높던 혈당인데 저혈당이 오다니 신기 ㅎㅎ
양수가 늘어났다.....?
처음 입원했을때는 배를 만지면 아기 머리가 바로 만져질 정도로 양수가 적었습니다 😢
하루동안 수액 열심히 맞고 다음날 바로 초음파를 다시 찍어봤습니다. 정말 다행스럽게도 저는 7~8 정도로 양수가 늘었습니다! 원래는 양수가 느는경우는 거의 없고 유지되는지 보는정도인데 저는 하루만에 늘어서 의사선생님도 신기해하셨습니다 ㅎㅎ 평소에 물을 많이 안마신것 같다고 하시며 그래도 정상 양수 수치는 10~ 15 이니까 몇 일만 더 입원해 있으며 지켜보기로 했습니다
3일째 되는 날 다시 초음파를보니 9까지 늘어났고 이틀 후쯤 되면 10까지도 늘것 같다고하셔서 4일째 되는날 퇴원을 했습니다!! 양수가 늘어나니 확실히 배가 무거워지고 아기가 “헤엄을치고 있구나” 싶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찰랑찰랑한 느낌 ㅎㅎ
원인은
아쉽게도 병원에서 원인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산모 몸에도 아기에게도 아무 이상이 없었고 수액을 맞으니 나아진걸로 봐서 평소에 물을 좀 안 마셨나보다하고 퇴원 한 후,
물을 하루에 3리터 이상씩 마셔보았으나 일주일 후 다시 수치가 5~6 으로 돌아왔습니다 ㅠㅠ.. 결국 37주에 조금 일찍 아기를 만나야 했습니다🥲
오로지 저의 뇌피셜로는,
입원하며 먹은 당뇨식이 양수가 늘어나는데에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집에서 임당 관리를 할 때 100% 늘보리밥으로만 밥을 해서 먹었습니다.
늘보리밥에 대해서 찾아보니, 늘보리밥은 다른 쌀들에 비해 탄수화물이 적다 는 정보를 얻었습니다.
탄수화물과 수분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요, 검색해보면 이와 같이 나옵니다.
요약하자면, 탄수화물이 줄면 수분이 빠진다는 내용입니다.
임당관리를 한다고 탄수화물을 너무 제한한 결과, 체내 수분이 너무 빠져나가서 양수가 적어진게 아닐까 ...
병원에서는 임당이면 오히려 양수가 늘어난다고 했으니 이건 그저 저만의 의견일뿐, 어떠한 의학적 근거도 없습니다!
보험료 지급
보건소에서 고위험산모 의료비 지원에대해 소개하는 브로셔에서 양수과소증 이라는 병명을 언뜻 본 기억이 났습니다. 고위험 산모라니 ... 나의 임신 기간은 무슨 고비가 이렇게 많은 것인지 ....!
양수과소증 진단코드는 O41.0 입니다.
양소과소증으로 진단받은경우, 보건소에서 병원비를 일부 지원받을 수 있으니 꼭 신청해서 받도록 합시다 😀
저는 코니 턱받이를 선물받아서 사용중인데, 신생아시기에는 큰 것 같지만, 저는 궂이 새로 사기 아까워서 그냥 사용중입니다 ㅎㅎ
4. 목욕수건
이건 겨울아가 한정일 수도 있겠지만, 목욕하고나면 아가가 많이 추워요 ㅠㅠ
특히 신생아는 집이 좀 서늘해야해서 보일러를 세게 틀지 않기 때문에 목욕 시에 보온을 더 신경 써줘야합니다.
유투브에서 천기저귀로도 충분히 닦인다고 하여 구매 안할뻔 했다가 ...!
제가 "혹시 몰라병"이있어서😂 구매해놨는데, 천기저귀로 닦였으면 너무 추울뻔 했어요 ㅠㅠㅎㅎ
겨울 아가에게는 추천입니다!
두개 정도 있으면 빨래 부지런히 해서 돌려 쓸 수 있어요 ㅎㅎ!
5. 손톱트리머 & 파일 아기가 손싸개를 벗으면 이틀에 한번 정도에는 손톱 관리를 해줘야합니다. 저는 손톱가위, 파일, 트리머 세 개 다 잘썼는데, 손톱가위와 트리머 중 더 유용한 건 트리머였습니다👍 처음엔 가위만 있으면 트리머 필요없지! 란 생각으로 가위만 구매 했었는데 … 생각보다 아기는 얼굴을 잘 할큅니다 ㅠㅠ 거기다 손을 빨기 시작하면 잇몸에도 상처가 날까 걱정이되어서 손톱이 조금이라도 길면 빨리빨리 정리 해 주게되는데요! 그때마다 가위로 자르기는 너무 조금 애매하게 자라있어서 트리머로 깎아주게 되더라구요! 그런데, 트리머로 깎으면 아래처럼 절단면이 뭉개지게되서 손톱파일로 정리해주면 깔끔하게 다듬어집니다👏👏 요렇게요!!
물론 좀 긴 손톱발톱은 트리머로 깎으면 영원히 깎아야해서.. 가위도 유용하게 잘 쓰고있습니다 😄
아그리고 저는 굉장히 쫄보라 … 트리머 잘못하다가 아기 다치는거 아냐 ?!하는 불신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트리머 굉장히 잘 만들어졌더군요 ㅎㅎ 아기 살에 닿아도 아기 살 하나도 안까져요! 그리고 좀 세게 살에 닿으면 멈추게되어있어서 저는 오히려 가위보다 안전하게 느껴졌습니다 ㅎㅎ
저는 아가드 트리머, 더블하트 손톱가위, 네이버 1위 아무 손톱파일 구매했는데요,
동물모양 손톱파일 귀부분으로 다듬으면 쉽게 다듬어져요 ㅎㅎㅎ
6. 사계절 담요
담요야말로 휘뚜루마뚜루 템인데요!
집안 온도가 왔다갔다할 때 덮어줄 때도 유용하구요 ㅎㅎ
카시트 태우고 외출 할 때 바깥 온도 따라서 덮어줄 때도 유용하게 사용했습니다.
또, 병원을 가면 병원은 따뜻하기 때무네 겉싸개로 아가를 똘똘 감싸면 아가가 더워서 땀을 흘리기도 하는데, 그 때 겉싸개 대신 덮어주기도 용이합니다.
정말 휘뚤마뚤템 👍!
여기서부터는 아기가 생활하는데 꼭 필요한 아이템은 아니지만 정말 잘 쓰고있는 아이템입니다 😀
7. 아기 체중계
우리 아가는 미숙아는 아니지만, 조금 작게 태어나서 남들보다 빨리 많이 커야하는데요!
처음엔 엄마가 안고 체중계에 올라가서 엄마무게를 빼서 쟀었는데, 오차가 심하더라구요 ㅠㅠ
아가 몸무게에 따라 수유량을 맞춰줘야하는데 몸무게가 들쑥날쑥 해지니 엄마도 스트레스고 아가도 잘 못크는 것 같아서 구매하게되었습니다.
특히 신생아들이 잘 크고있는지 알 수 있는 지표는 오로지 몸무게 뿐이기 때문에
저는 몸무게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구매했고, 생각보다 더 정밀하게 잴 수 있어서 만족템입니다 👍
저는 휴비딕 HUS-317B 를 구매했는데요,
최소단위가 5g 이고 40 키로까지 잴 수 있어서 잘 사용중입니다!
8. 포토 인화기 저는 아기가 크면 니가 어렸을 때 이렇게 사랑으로 컸단다 ~ 하는 걸 최대한 알려주고 싶어서 태아일기, 육아일기를 쓰고있습니다 😊
육아일기를 그냥 쓰는 것 보다 사진이랑 같이 쓰면 좋겠다 싶어서 캐논 인스픽, 캐논 셀피, 코닥 미니 중 고민하다가 캐논 셀피 CP1500 을 구매했습니다.
휴대성이냐 화질이냐 고민하다가 인스픽이 옛날 사진처럼 나온다는 리뷰들이 너무 많아서 선택했는데 결과는 1000% 만족입니다 🙌
우분투 계정 로긴 화면에서 wayland가 아닌 gdm 을 사용하면 해결됨. (로긴 화면에서 톱니바퀴를 누른 후 설정 가능)
최근 회사에서 개발 장비를 새로 받을 일이 있었는데, 내가 사용하던 개발 환경인 Ubuntu 18.04를 더 이상 쓸 수 없게되었다는 얘길 들었다.
18.04 가 아니면 안되는 것들이 있는데도 그런 사정을 하나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을 정한 회사가 이해가 되진 않았지만...ㅎ
까라면 까야지
docker 가 해결해줄거라 굳게 믿고, 이왕 버전 올리는거 20.04 말고 22.04로 올려달라고 했다.
그렇게 새로 대면하게 된 내 장비.
앞으로 나랑 몇년 간은 같이 구르고 고생할 새 파트너...
첫 인상은 나쁘지 않았다. 오 이제 웨이랜드가 디폴트구나. 세상 허허 좋아졌구만~
하면서 이것저것 설치해가며 몇일을 보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이.. 뭔가 잠시 어딜 다녀오거나 하면 한번 씩 로그인이 풀려있는 것이었다.
그와 함께 내가 열어두고 간 모든 것들이 닫혀있고 말이다.
당연히 그 중에는 컴파일 중이거나 리모트에 붙어있는 터미널들은 기본이고 이것저것 휘갈겨 놓은 gedit 도 있었다.
난 그렇게 길게는 몇시간씩 공들여 놓은 것들을 잃어버리는 경험을 시작하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간편하게 열어서 이것저것 끄적여 놓기에 gedit 만한게 없었는데 한가지 아쉬운게 자동 저장이 안되는 점이었다. 그게 이번에 아쉬운 점이 아니라 아쉬x인 점이 되어서 obsidian으로 갈아탔다. 옵시디언 짱짱맨)
처음엔 PC를 받은지도 얼마 되지 않았고, 뭔가 백그라운드에서 새로 설치되는게 많나보다~ 했었는데 말이다. 이게 몇일이고 계속 반복이 되니 미칠 노릇이었다.
원인을 알 방법도 업었다. 여기저기 검색하고 다녀도..
우분투의 전원 옵셥이나 바꿔보라는 둥, 대부분 파워 쪽에서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었고 모두 따라해봤지만 달라지는건 없었다.
마치, 매일 아침이면 기억을 상실하는 연인을 둔 사람의 마음과도 같이 내가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개발 장소를 옮기거나 하면 어김없이 내 장비는 순백의 상태로 돌아가있었다.
그러던 중, 뭔가 단서가 될만한 동작 패턴을 발견했다.
개발 장소를 옮기거나 할 때 HDMI를 새로 연결하거나 기존의 것을 제거하거나 등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이 되는 것 같았다.
이게 또 문제가 뭐냐면 딱 한번 그걸 눈으로 확인한 것이었다.
의식하면서 쓰면 안 나와 이게.. 그러다가 한번 딱 눈 앞에서 모든 것이 꺼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건 재부팅도 아니었고 그냥 로그아웃이 되는 현상이었다.
그 때부터 이 문제는 전원 계열의 문제가 아님을 알 수 있었고, 그제서야 display, display 장치 등으로 확인 방향을 바꾸게 되었다.
dmesg, journal 등 로그들을 다 확인해보던 중 이상하게 wayland 라는 키워드가 계속 눈에 들어왔다.
근데 딱히 문제처럼 볼수는 없는 것이, 당연히 부팅이나 로그인을 할 때면 wayland가 뭔가를 초기화 할만도 하기에 처음에는 크게 눈여겨 보지는 않았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하기는 해야겠기에 wayland, auto logoff 등등으로 검색하던 중 한 댓글을 마주하게 된다.
(아쉽게도 너무 많은 문서들을 뒤져보다보니 어디에서 봤었는지는 찾지 못하였다)
대충 이런 얘기였다.
그거, wayland가 뻑나는거야. gdm으로 우분투 쉘을 바꿔.
즉, 노트북 커버를 닫거나 HDMI 포트를 제거하거나 새로 연결할 때 wayland가 어떤 동작을 하다가 뻑나버린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렇게 wayland를 back으로 쓰고 있던 ubuntu shell도 같이 날아가는 것이었고, 이 ubuntu shell이 날아가니 내 login 세션도 같이 저세상으로 간다는 것이었다.
(wayland나 display 관련해선 잘 몰라서 대충 이런 느낌으로 이해했다 정도...)
그렇게 나는 당장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로긴 화면에서 우분투 쉘을 gdm 으로 변경했고
그 후로는 혼자서 꺼진적이 없다는 행복한 이야기~
그런데 새로 받은 노트북이 워낙 경량에 소형이라 배터리 자체가 작아서.. 그저 대기모드만으로도 밤새 방전이 되어버리는데.. 이게 정말 배터리의 문제인지 idle 상태에서 뭔가 동작 중이어서 배터리를 먹는 것인지는 또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이렇게 하나하나 문제 현상들을 고쳐가며 정이 들만한 시점에는, 장비 교환 주기가 되어 아쉬운 이별을 하게 될 테지만.
이러한 삽질 역시도 개발자로서 살아가는 여정 중에 빠질 수 없는 소소한 재미 인 것 같다.
분명 처음 이글의 시작은 정보성의 목적이 짙었는데,
쓰다보니 일기가 된 것 같다.
글의 서두에 해결 방법을 써두었으니 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거기만 확인해주시면 되겠다. (화장실 '옆을 보시오' 개그 같기도...)